반응형
"돼서"와 "되서"는 모두 "되다"의 연결어미 형태입니다. 표준어로는 "돼서"가 올바른 표현이며, "되서"는 흔히 사용되는 비표준적인 표현입니다. "돼서"는 "되어서"의 축약형으로, 주로 문장에서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돼서 (되어서)
"돼서"는 '되다'가 조건이나 결과를 나타내며 사용되는 경우의 축약형입니다. 이 형태는 원인이나 결과, 그리고 시간적 연속성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사용 예시:
- "비가 와서 야외 행사가 취소됐어요."
- 비가 내린 결과로 야외 행사가 취소되었다는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 "시험을 잘 봐서 학점이 좋아졌어요."
-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얻어서 학점이 향상된 결과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되서
"되서"는 일상 대화에서 자주 사용되지만, 정확한 문법에 따르면 "돼서" 또는 "되어서"가 적절한 표현입니다. "되서"는 "되어서"의 또 다른 비표준적인 축약형입니다.
올바른 예시로 대체합니다:
- "저녁이 되어서야 집에 돌아갈 수 있었어요."
- 저녁 시간이 되어서야 집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는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 "문제가 해결되어서 다행이에요."
- 문제가 해결되어서 다행이라는 감정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어려운 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장? 천정? 무엇이 맞을까요? (0) | 2024.04.13 |
---|---|
일일이? 일일히? 무엇이 맞을까요? (0) | 2024.04.13 |
'있슴'과 '있음' (0) | 2024.04.12 |
'아니오'와 '아니요' (0) | 2024.04.12 |
'부기'와 '붓기'의 바른 표현 (0) | 2024.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