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려운 우리말

(160)
알수록 어려운 우리말 - 낯선 낮선 낱선 알수록 어려운 우리말 - 낯설다 낮설다 낱설다 자주 쓰지 않아서 익숙치 않았던 단어. 낯설다. 낯설다 [낟썰다] 1.형용사 전에 본 기억이 없어 익숙하지 아니하다. 2.형용사 사물이 눈에 익지 아니하다. 이 단어는 내가 잘 안써봐서 나만 헷갈린 단어 인듯 하다. 낮설다 >> 잘못된 표현 낱설다 >> 잘못된 표현 익숙치 아니하다의 표현을 할때는 모두 낯설다. 낯선 낯익다 로 모두 ㅊ받침으로 사용하면 될 것같다.
알수록 어려운 우리 말 - ~더라구 ~더라고 알수록 어려운 우리말 - ~더라구 / ~더라고쓸 때마다 헷갈리는 ~더라구 ~더라고 알수록 어려운 우리말 - 더라구 더라고~더라고 [~더라 + 고][결합]1.어미 '~더라'에 인용을 나타내는 격 조사 '고'가 결합한 말.( 참고 - 네이버 국어사전 )격조사 '고'가 결합된 말로. '구'로 쓰면 안됩니다.돈이 있더라고요 (O)돈이 있더라구요 (X)친구가 집으로 갔더라구요(X)친구가 집으로 갔더라고요(O)~더라고 쓰는게 맞더라고요(O) 이상으로 "~더라구" "~더라고"였습니다.
알수록 어려운 우리 말 - 머리속 /머릿속 알수록 어려운 우리말 - 머리속 / 머릿속헷갈리는 머리속 / 머릿속 알수록 어려운 우리말 - 머리속 머릿속머릿-속 [발음 : 머리쏙/머릳쏙][명사]1.상상이나 생각이 이루어지거나 지식 따위가 저장된다고 믿는 머리 안의 추상적인 공간.2.머리뼈안(머리뼈 속의 공간).( 참고 - 네이버 국어사전 )머리속은 처음부터 잘못 된 단어 입니다."머릿속"이 맞는 말 입니다.-머리속이 복잡해 (X)-머릿속이 복잡해 (O) 이상으로 "머리속" "머릿속" 이었습니다.
알수록 어려운 우리말 - 안되 / 안돼 알수록 어려운 우리말 - 안되 / 안돼쓸 때마다 헷갈리는 안되 안돼이참에 머릿속을 정리 해보려 합니다. 알수록 어려운 우리말 - 안되 안돼안되다 [안되다/안뒈다][동사]1.현상, 물건 따위가 좋게 이루어지지 않다.2.사람이 훌륭하게 되지 못하다.3.일정한 수준이나 정도에 이르지 못하다.( 참고 - 네이버 국어사전 )정리하자면,일단, 안돼, 돼다 라는 말은 존재 하지 않는다. "돼"는 "되어"의 준말 인터넷에 찾아보니 쉽게 구별하는 방법이 있어서 적어볼게요.돼 ▶▶ 해 되 ▶▶ 하로 바꿔서 어색하지 않다면 맞는 말이라고 하네요. 숙제를 해야"돼" ▶▶ 숙제를 해야"해" 어색하지 않죠 ? [O] 숙제를 해야"되" ▶▶ 숙제를 해야"하" 어색 ...하죠 ? [X]밥먹으러가야 "되"는데 ▶▶ 밥먹으러가야 "해"..
알수록 어려운 우리말 - 피칠갑 알수록 어려운 우리말 - 피칠갑 (순우리말)어느 소설책을 보다가 "피칠갑"이란 단어가 나왔다.나는 생전 처음 듣는 단어 라 찾아보았다. 알수록 어려운 우리말 - 피칠갑 (순우리말)피 칠 갑 (순 우리말)- 온몸에 피를 묻히거나 뒤바르는 일. 또는 그렇게 하여 놓은 것( 참고 - 네이버 국어사전 ) 이상 "피칠갑" 이었습니다.
알수록 어려운 우리말 - 장물 알수록 어려운 우리말 - 장물 (贓 物)뉴스에서 "장물"이란 단어서 나왔다..경매에 나온 물건이"장물"이라고 문제가 된다고...?보도 내용의 정확한 의미 파악이 되지 않아서 "장물"이란 단어를 찾아보았다. 알수록 어려운 우리말 - 장물(贓物)贓 - 장물 장物 - 물건 물 - 절도, 강도, 사기, 횡령 따위의 재산 범죄에 의하여 불법으로 가진 타인 소유의 재물. - 훔친 물건( 참고 - 네이버 국어사전 ) 이상 "장물" 이었습니다.
알수록 어려운 우리말 - 일갈 일갈 알수록 어려운 우리말 - 일갈(一喝)一 - 한 일喝 - 꾸짖을 갈"한번 큰 소리로 꾸짖음" - 스승의 벽력같은 일갈에 제자는 주춤하였다. - 그 도련님은 이천곤의 뒤틀린 일갈에 허둥지둥하였다.( 참고 - 네이버 국어사전 ) 관련 단어 - 대성일갈(大聲一喝)大 - 클 대 聲 - 소리 성一 - 한 일 喝 - 꾸짖을 갈"큰 소리로 꾸짖음" ( 참고 - 네이버 지식백과 ) 이상 "일갈" 이었습니다.
알수록 어려운 우리 말 - 도산 "도산".. 이란 단어를 인터넷에서 지나가다 마주쳤었다.도산.. 이란 단어를 어디서 들어봤지? 도산 안창호!! 안창호 선생님의 호는 도산(島山)섬도/뫼산 호의 의미를 찾아보니.. 안창호 선생이 미국으로 유학가는 뱃길에서 우뚝 솟은 하와이 섬의 웅장한 모습을 보고 감격하며 아! 도산! 이때, 자신의 호를 직접'도산'이라 명명하였다고 하네요. 알수록 어려운 우리말 - 도산(倒産)倒 - 넘어질 도 産 - 낳을 산"재산을 모두 잃고 망함." - 도산의 위기에 처하다 - 속출하는 기업의 도산이 대량 실업을 유발했다. - 은행의 도산으로 공황은 더욱 심각해졌다.( 참고 - 네이버 국어사전 ) 한자는 같지만 다른 의미 "도산" 알수록 어려운 우리말 - 도산(到産)倒 - 넘어질 도 産 - 낳을 산"아이를 낳을 때에 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