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옷이 헤어지다"가 올바른 표현입니다. "헤어지다"는 옷감이나 물건이 낡아서 얇아지거나 찢어지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해어지다"는 잘못된 표현이며, 사용되어서는 안 됩니다.
헤어지다
사용 예시:
- "오래 입은 바지가 마침내 헤어져서 새 바지를 사야 했어요."
-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한 바지가 낡아서 찢어진 상황을 설명합니다.
- "구석이 헤어진 책을 조심스럽게 다루어야 해요."
- 책의 구석이나 표지가 낡아서 손상된 상태를 나타냅니다.
"헤어지다"는 옷이나 다른 물건이 사용으로 인해 마모되거나 손상되는 상황에 적합한 표현입니다. 일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며, 특히 옷감이나 신발, 가방 등이 오랜 사용으로 인해 낡아진 상태를 묘사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어려운 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꼈다? 바뀌었다? 무엇이 맞을까요? (0) | 2024.04.11 |
---|---|
금새? 금세? 무엇이 맞을까요? (0) | 2024.04.09 |
'이상'과 '이하'의 범위 (0) | 2024.04.09 |
'안 하다'와 '않 하다'의 바른 표현 (0) | 2024.04.09 |
베개? 배개? 무엇이 맞을까요? (0) | 2024.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