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려운 우리말

응급조치? 응급조취? 무엇이 맞을까요?

반응형

"응급조치"가 올바른 표현입니다. "응급조치"는 갑작스러운 사고나 질병 발생 시 즉각적으로 취하는 처치나 대응을 의미합니다. "응급조취"는 잘못된 표현으로, 사용되어서는 안 됩니다.

응급조치 (應急措置)

  • 한자: 應(응할 응) 急(급할 급) 措(둘 조) 置(둘 치)
  • 의미: 긴급한 상황이나 사고가 발생했을 때, 그 상황을 처리하기 위해 즉각적으로 취하는 조치를 의미합니다.

사용 예시:

  1. "화상을 입었을 때 취해야 하는 응급조치를 배웠어요."
    • 화상 상황에서 바로 실행해야 하는 처치 방법을 학습한 상황을 나타냅니다.
  2. "교통사고 현장에서 응급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졌습니다."
    • 교통사고 발생 시, 현장에서 바로 이루어진 긴급한 조치들을 설명합니다.

"응급조치"는 의료 상황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긴급 상황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적절한 처치나 대응이 생명을 구하거나 상황을 안정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이 표현은 일상생활에서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의료 분야나 안전 교육에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