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개발 - 금융공부 (17) 썸네일형 리스트형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차이.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란말을 많이 들어봤지만, 정확하게 어떤의미인지 잘 모른다. 우선, 종합소득세를 알아야 할 것 같다. 종합소득금액이란 ? 6가지 소득을 종합한 금액을 의미. 1. 이자소득 2. 배당소득 3. 사업소득 4. 근로소득 5. 연금소득 6. 기타소득 위의 6개를 합친 것이 "종합소득"으로, 매년 5월에 신고 한다. 보통 종합소득세 신고는 "개인사업자", "프리랜서"들이 속한다. 만약 종합소득이 年 5,000만원 이라고 가정 했을 때 "소득공제를 300만원 받는다." 라고하는 의미는 종합 소득에서 500만원을 공제 한 年종합소득이 4,500만원으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소득금액이 공제되면서 소득자체가 줄어들었고, 소득자체가 줄어들면서 과세표준(세금)이 더 낮은 %요율로 적용 받게 되는 것이다. .. 8. 공공재 (돈의속성-금융공부) 8. 공공재 公共財 , public goods 평평할 공 公 한가지 공 共 재물 재 財 공공재란 사유재(private goods)에 대립되는 것으로서 사유재와는 달리 그것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가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시장 메카니즘에 의한 공급은 불가능하고 투표를 통한 의사결정의 정치적과정(political process)을 통해서만 공급될 수 있는 성질을 갖는 재화와 서비스를 말한다. 예를 들면 경찰, 국방, 소방, 공원, 도로, 교육 등은 공공재의 대표적인 것들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공공재 [公共財, public goods] (경제학사전, 2011. 3. 9., 박은태) 7. 골디락스 경제 (돈의속성-금융용어) 7. 골디락스 경제 Goldilocks economy 골디락스 경제란? UCLA 앤더스 포캐스트의 수석 경제학자 슐먼(David Shulman)이 처음으로 이 용어를 사용했다. 그는 인플레이션을 우려할 만큼 과열되지도 않고, 경기 침체를 우려할 만큼 냉각되지도 않은 경제 상태를 골디락스에 비유했다. 골디락스 경제에서는 물가상승에 대한 큰 부담 없이도 실업률 하락, 소비 확대, 주가 상승, GDP 성장 등을 실현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골디락스 [Goldilocks] (상식으로 보는 세상의 법칙 : 경제편, 이한영) 6. 고통지수 (돈의속성-금융용어) 6. 고통지수 苦痛指數 쓸 고 苦 아플 통 痛 가리킬 지 指 셈 수 數 미국 브루킹스연구소의 경제학자 오쿤(Arthur Okun, 1928-1980) 박사가 고안한 것으로, 소비자 물가상승률에 실업률을 합해 산출한 경제지표를 말한다. 한 나라의 1년간 경제 성과를 가늠하는 척도로 널리 활용되는데, 고통지수가 커질수록 실업자는 늘고 물가가 비싸져 국민생활이 그만큼 어려워진다. [네이버 지식백과] 고통지수 [苦痛指數, misery index] (행정학사전, 2009. 1. 15., 이종수) 현재 경제 분위기는 고통지수가 아주 높은것 같다. 5. 고정금리 (돈의속성-금융용어) 5. 고정금리 固定金利 굳을 고 固 정할 정 定 쇠 금 金 이로울 리 利 일반적으로 금리는 '고정금리’와 '변동금리'로 나눌 수 있다. 고정금리는 상품에 가입한 기간 동안 시중금리가 아무리 큰 폭으로 변하더라도 이자율이 변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정기예금, 정기적금과 같은 예금상품은 대부분 고정금리이며, 채권, CP(기업어음), CD(양도성예금증서), 개발신탁 등도 고정금리를 준다. 이에 반해 변동금리는 적용되는 이자율이 가입기간 중에 계속 변하는 것을 말한다. 대출 후 금리가 큰 폭으로 상승했을 경우 고정금리는 변동금리보다 유리하지만 대출초기금리가 변동금리보다 1% 이상 높다. 반면, 변동금리는 대출초기금리가 고정금리보다 1%이상 낮지만 대출 후 금리가 큰 폭으로 상승할 경우에는 고정금리보다 불리하다.. 3. 경상수지 (돈의속성-금융용어) 3. 경상수지 經常收支 지날 경 經 떳떳할 상 常 거둘 수 收 지탱할 지 支 국가 간 상품 및 서비스의 수출입, 자본 노동 등 생산요소의 이동에 따른 대가의 수입과 지급을 종합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국제수지'를 이루는 중요한 요소이다. 경상수지는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소득수지, 경상이전수지 등으로 구분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경상수지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경상수지 흑자와 적자 경상수지가 흑자라는 것은 상품과 서비스 등의 수출과 관련해 늘어나는 생산과 일자리가 수입으로 인해 줄어드는 것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때문에 그만큼 국민의 소득 수준이 높아지고 고용이 확대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반대로 경상수지가 적자를 나타내는 경우 소득 수준이 낮아지고 실업이 늘어남과 동시에 외채가.. 2. 경기동향지수 (돈의속성-금융용어) 2. 경기동향지수 景氣動向指數 볕 경 기운 기 景氣경기 : 경기(경제)가 움직일 동 향할 향 動向동향 : 어느 방향으로(상승/하강) 움직이는지 가리킬 지 셈 수 指數지수 :가리키는 숫자 경기확산지수 라고도 한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 디퓨전인덱스(diffusion index:DI)가 있다. 현재의 경기에 대해 상승과정과 하강과정의 정도를 파악하고, 아울러 장래의 경기를 예측하는 실마리로 삼는다. 지수 작성을 위해 채택된 지표(통계) 중에서 수개월(보통 1개월 또는 3개월) 전의 숫자와 비교하여 상승 중인 지표의 수의 비율을 지수로 하는 것이다. 지수가 50% 이상을 유지하는 한 경기는 상승과정에 있다고 판단한다. 지수가 50% 선을 위에서 아래로 넘어서는 시점을 경기의 피크(peak:정점)로 보며, 50%.. 1. 가산금리 (돈의속성-금융용어) 가산금리加算金利 더할 가 셈 수 쇠 금 이로울 리 네이버국어사전: 경제 금융 기관에서 대출, 채권 따위의 금리를 결정할 때 기준 금리에 덧붙이는 금리. 많이 들 들어본 개념이다. "기준금리"에 덧붙이는 금리 이 가산 금리는 대출을 이용하는 사람의 신용, 담보 등으로 은행이 자체적으로 심사를 해서 매겨지는 금리이다. 계약한 대출 기간 중에 기준금리가 변동 되면 금리는 상승한다. 그림을 그려보겠다. 다른 블로그의 아이디어를 참고했다.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