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어에서 '개수'와 '갯수'는 모두 수량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그러나 표준어는 "개수"입니다. '갯수'는 일상 대화에서 흔히 사용되기는 하지만, 정확한 표기는 '개수'입니다. 이 단어는 어떤 것의 수량이나 갯수를 세어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개수 (個數)
- 한자: 個(개) + 數(수)
- 의미: '개'는 단위를 나타내는 말이고, '수'는 숫자나 양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개수'는 특정 단위로 세어진 숫자나 양을 나타냅니다.
사용 예시:
- "시험지의 오류 개수를 확인해 주세요."
- 시험지에 있는 오류의 총량을 세어 달라는 요청입니다.
- "이 상자에는 볼펜이 총 20개 들어 있으니, 개수를 잘 확인해 보세요."
- 상자 안에 들어 있는 볼펜의 총 수량을 확인하라는 의미입니다.
'개수'는 정확한 수량이나 양을 나타낼 때 사용되며, 공식 문서나 학술적 글쓰기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일상 대화에서도 '갯수' 대신 '개수'를 사용하는 것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어려운 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염치불고'와 '염치불구'의 바른 표현 (0) | 2024.04.06 |
---|---|
'며칠'과 '몇일' (0) | 2024.04.05 |
'안 돼'와 '안 되'의 바른 표현 (0) | 2024.04.05 |
'그러고 나서'와 '그리고 나서' (0) | 2024.04.05 |
삼가 주세요? 삼가해 주세요? (0) | 2024.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