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삼가 주세요"와 "삼가해 주세요" 모두 경건한 마음으로 무엇인가를 조심하거나 피하라는 의미로 사용되지만, 일반적인 표현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삼가"는 한자 "三加"에서 왔으나, 이 경우 "三(삼)"과 "加(가)"의 조합은 의미를 형성하는 데 직접적으로 기여하지 않습니다. 현대 한국어에서 "삼가"는 주로 '경건한 마음으로 자제하다' 또는 '조심하다'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삼가 주세요
"삼가 주세요"는 무엇인가를 하지 말아달라고 요청할 때 사용되며, 상대방에게 특정 행동을 자제해 달라고 부탁하는 표현입니다.
사용 예시:
-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삼가 주세요."
- 주변에 불필요한 소음을 만들지 말아달라는 요청입니다.
- "비밀을 유지해 주실 것을 삼가 주세요."
- 어떤 정보를 비밀로 유지해 달라는 부탁입니다.
삼가해 주세요
"삼가해 주세요" 역시 비슷한 맥락에서 사용되지만, "삼가하다"라는 동사 형태를 취해 요청이나 부탁의 의미를 좀 더 직접적으로 전달합니다.
사용 예시:
- "회의 중에는 휴대폰 사용을 삼가해 주세요."
- 회의 중 휴대폰 사용을 자제해 달라는 요청입니다.
- "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하는 태도를 삼가해 주세요."
- 상대방에 대한 존중과 예의를 갖추어 달라는 부탁입니다.
두 표현 모두 예의를 갖춘 요청이나 부탁을 할 때 사용되며, 특정 행동을 자제하거나 조심해 달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삼가 주세요"가 약간 더 격식을 차리는 표현으로 여겨질 수 있으며, "삼가해 주세요"는 구체적인 행동에 대한 자제를 요청하는 데 사용됩니다.
'어려운 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 돼'와 '안 되'의 바른 표현 (0) | 2024.04.05 |
---|---|
'그러고 나서'와 '그리고 나서' (0) | 2024.04.05 |
'금세'와' 금새'의 바른 표현 (2) | 2024.04.05 |
'연도'와 '년도' 무엇이 맞을까? (0) | 2024.04.05 |
사단이 나다? 사달이 나다? 무엇이 맞을까요? (0) | 2024.04.05 |